작은 청음공간이든, 큰 청음공간이든 저역 핸들링은 참으로 어려운 일인것 같습니다.

장비가 아무리 좋아도, 기기가 아무리 좋아도, 준비되어 있는 룸 즉 튜닝이 되어 있지 않은 오디오 공간에서는

아무런 힘을 쓸 수 없는것을 오디오파일이라면 잘 아실것이라 생각됩니다.

 

음향 튜닝 도구는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디퓨저, 어퓨저, 리플렉탈, 스카이라인, 베이스트랩 등등

결국은 흡음과 반사를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그 결과가 달려 있다고 생각합니다.

 

ASC Tubetrap은  150hz 미만의 낮은 저역을 컨트롤하는 베이스 트랩 기능에 중고역의 분산 및 반사기능까지 동시에 지닌

이율배반적인 룸튜닝 아이템 입니다.

 

본래 역할은 저역 튜닝이나, 베이스트랩의 단점인 다른 대역까지 잘라먹는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전대역을 컨트롤하여 기분좋은 소리를 들려 주는 멋진 튜닝제 입니다.

(실제로 둥근 원통으로 저음을 컨트롤하고, 벽 반대쪽의 면적 반은 중고역 분산을 위한 분산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2.3평 방에서 수준 높은 저역이 부밍없이 깔끔하고 생동감있는 소리로 들려 온다면,  믿으실까 모르겠습니다.

그러면서, 중고역의 해상력과 핀포인트 그리고 스테이지까지 비약적으로 상승해 버리니,

 

할말이 없습니다. 

 

단점은 가격이 상당히 비싸다는것 외에는 없어 보입니다.

좌우 코너 1개씩 사용하는것 보다는 사진과 같이 좌우 2개를 세워서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좋습니다.

저역 부밍이 심한 곳에서는 벽과 튜브트랩을 1인치 정도 떨어트려 놓으면 더욱 강력하게 저역을 핸들링 할 수 있습니다.

 

궁극이라 단언할 수 있는 멋진 튜닝 아이템인것 같습니다.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오디오용 선재들의 특징은 대부분 도체의 순도와 재질이 무엇인가를 매우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이엔드 케이블의 경우는 사실 도체의 순도와 재질은 기본이고, 진동 및 주파수를 컨트롤하는 특수한
기법들로 소리를 눈에띄는 변화시키는 무서운 기술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벌크 선재를 이용한 DIY에서는 아직까지는 도체의 순도와 재질이 소리에 가장 큰 영향을 준다고
생각을 하며, 또한 선재 선택에 있어서도 큰 기준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에 제작해본 파워코드는 도체의 재질이  PC Triple-C 라는 도체로 되어 있는 SAEC AC6000 입니다.
일본에서 판매되는 제품이고, 일반적인 동을 연속단조기술을 적용하여 동의 순도를 최대한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였습니다
 
뭐 쉽게 생각해서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OFC/OCC같은 기술과 원하는 결과물은 같은 것이라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단 열처리 기법이 위의 것들과는 다른 방법으로 만들어 졌다고 생각하시면 쉬울것 같네요.  
 
이번에는 UPOCC핀을 자랑하는 네오텍 NC-P312 + NC-P302 으로 제작을 해보았습니다.

OCC선의 특징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것을 보니,

PCOCC-A에서 OCC선들의 단점인 개방감이나 스피드가 많은 개선을 보였습니다만, 완전하게 개선하지는 못했습니다.

하지만, AC6000의 PC Triple-C는 이러한 단점을 모두 완전히 개선했다고 생각합니다.

 

이 선의 가장 큰 특징은 고역 개방감이 아주 좋다는 것입니다.
해상력도 수준급이고 무대를 만들어 내는 능력도 아주 좋습니다.
스피드도 굉장히 빠른 편이며, 파워코드를 바꿨을 때 소리의 변화가 음색의 변화가 아닌, 오디오적인 성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 같습니다. 

위 특성을 가지면서도 동선 특유의 따스함과 질감을 함께 가지고 있으니, 특별히 부러울 것이 없는 케이블이 될 것 같습니다.

단 OCC선 특유의 아름다운 질감과의 비교에서는,  이 파워코드가  약간 멈출 수 있습니다만, 이것은 역시 사용자가 선택하여 만들어지는 튜닝의 무기로 사용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리고 선재의 굵기는 12AWG정도이며, 소스용으로 사용하시면 좋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듯 합니다.
물론 파워선재로 사용하는데도 큰 무리는 없습니다. 
 
간만에 상당히 훌륭한 파워코드를 구입한 것 같아서 기분이 상당히 좋네요. 

 

PS. 우리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 중에 파워선재는 파워코드가 굵어야 무조건 좋다 인데, 실제 그렇지도 않습니다.
파워앰프에 사용하는 전류 량을 커버하는 데는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소스용 파워코드로도 사실 충분하지요.
도체의 저항 값이 굵을수록 낮기 때문에 소리의 경향이 달라지는 것도 다시 생각해볼 문제라 봅니다. 

 

PS.2 단조 기술이란게 실제로 방향성을 일직선으로 만들지 도체의 순도를 개선하거나, 전기적인
특징 그러니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결정을 하나로 만들어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하는 방식이
아닌 조금은 다른 방식이라고 합니다. 아시는분 말씀으로는 저걸로 어떻게 전기적인 신호 개선이
되느냐고 되묻는 분도 계신데... 거참 오디오 알수가 없습니다. ^^*
 

 

 

2013.12.06 추가

 

직접 아이키도 프리앰프에 사용해보니, 정말 훌륭합니다.

"문드로프 콘덴서 = 전원부 최강" 이라는 공식이 딱 떨어 집니다.

 

무대면 무대, 대역이면 대역 모든 소리를 아주 잘 만들어 냅니다.

특히 현대적인 소리를 만들어내면서도 자극적이지 않고 다이나믹하면서도 매우 자연스러운 소리를 만들어 냅니다.

 

사용시 주의점이라면, 높은 용량의 다른  콘덴서를 같이 덧붙여 사용하면 약간 혼탁한 맛이 있어서,

낮은 용량의 고품질 MKP를 같이 바이패스 해주거나, 그냥 전원부에 전해콘덴서 대용으로 사용하면,

아주 좋은 결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입니다.

 

-----------------------------------------------------------------------------------------------------------------

 

진공관 앰프를 제작하다보면,

가장 관심이 가는것은 역시 진공관이나, 트랜스류들 일 것입니다.

 

하지만 의외로 커플링 콘덴서나, 전원부 콘덴서가 음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요.

특히 전해 콘덴서를 용량이 비슷한 MKP로 교체했을 경우 그 효과가 두두러지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물론 이것도 케바케라 단언드릴 수 있습니다. 무조건 좋다고 좋으면 오디오 만들기 정말 쉽겠죠)

 

그 이유 중 하나가, MKP로는 음의 유연성, 자연스러움은 분명 얻을 수 있습니다만,

소리의 힘과 표현력을 잃어버릴때가 있습니다.  (물론 이것도 케바케)

 

그래서 사실 전해콘덴서+MKP 조합을 알아보다가, 눈에 띄는 녀석을 발견하였는데

문드로프사의 MTUBECAP 입니다.

 

 

전해콘덴서 대채용으로 개발된 제품으로, 생긴것도 전해 콘덴서랑 비슷하게 생겼습니만, 태생은 MKP입니다.

진공관 앰프 전원부에 사용하는 몇 안되는 전용 콘덴서 입니다.

(ClarityCap TC시리즈도 이런류의 콘덴서인데, 크기가 너무 커서 일단 넘겼습니다.)

 

생각외로 컴팩트하고 이정도면 진공관용 샤시에 내장이 가능할것 같네요.  

(생각외로..입니다. 수류탄에 가까운.. EPCOS Sikorel만큼 큰 콘덴서입니다.)

지금 새롭게 만들고 있는 합기도 프리에 넣어보고, 그 성능을 평가해보자 합니다.